4. 자연언어의 주요 음운현상

 

4.1. 음운현상(Phonological process)이란?

 

When morphemes are combines to form words, the segments of neighboring morphemes become juxtaposed and sometimes undergo change. Consider the morphonologically related forms electric, electrical, electricity and fantastic, fantastical, fantacism.. Here the final k of electric becomes s before a morpheme beginning with i. Changes also occur in environments other than those in which two morphemes come together- for example, word initial and word final positions, or the relation of a segment vis-a-vis a stressed vowel. All such changes will be called phonological process. (Schane 1973: 49)

 

4.2. 자연언어 음운현상

 

i) 동화 (Assimilation)

 

a. 자음이 모음에 동화되는 경우

-Nupe (West African Language): 전설 모음 앞에서 경구개음화(palatalization), 원순모음 앞에서 순음화, 한국도 마찬가지e.g. 아가  vs.  아고

 

b. 모음이 자음에 동화되는 경우

-영어: 비음 앞에서 모음의 비음화 e.g. see   vs. seen   /  cat  vs.  can't

 

c. 자음이 자음에 동화되는 경우

-Yoruba(West African): 비음 접두사(nasal prefix)의 위치 동화 e.g. ba  (hide)  vs.  mba (hiding)   /  sun (sleep)  vs.   nsun  (is sleeping) , 자음 초성에 따라 접두사 모양 변화, 일본어도 받침이 뒤에 뭐가 오냐에 따라 달라짐

 

d. 모음이 모음에 동화되는 경우

- Turkish: 접미사의 고모음은 어근 모음의 앞뒤 위치와 원순성에 동화

 

ii)음절구조 관련 음운현상

 

*음절구조의 유표성

-유아의 언어 습득: CV>V ; CV> CVC

-언어 상실: V>CV; CVC>CV

=> (C)V가 (C)VC보다 무표적이다. 즉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보다 모음으로 끝나는 음절이 무표적이다.

=> 두음은 존재하느 것이 자연스럽고 말음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러움.

 

음절(syllable)의 개념: 발화연쇄 내에서 각각의 음운들을 묶는 최소 단위로 대개의 음절은 모음 앞뒤에 하나 이상의 자음이 결합해 한 음절을 형성.

 

*음절구조 관련 음운 현상 특징

 

a. (C)V: 음절구조의 가장 기본적 (무표적)

b. CVC/CCVC: 기본 구조 앞이나 뒤에 자음을 더한 구조, 종성이 있는 폐음절(closed syllable)구조로 자연언어 50%이상이 이에 속함

c. (C)CCVCC: b.의 구조 앞뒤로 자음 하나씩 더한 가장 복잡한 음절 구조, 영어 포함 많은 인도 유럽어와 인도네시아어 등 이에 속함

=> c.>b>a

 

*음절구조 관련 음운 현상

 

a. 자음 탈락  CVC->CV

-프랑스어: e.g. petit ami /groz ami -> peti(t) garso / gro(z) garso

 

b. 모음 탈락: CVV-CV

-한국어: 잡(CVC)+아서(VCV)=잡아서 vs.  가(CV)+아서(VCV)=가서 (모음탈락)

 

c. 자음 삽입 (VV->V+C+V

-필리핀 Hanunoo

-한국어: 영숙+아=영숙아   vs. 철수+아 = 철수야 (j삽입)

 

d. 모음삽입(CC->C+V+C)

-한국어: 꾸(다)+ㅁ=>꿈   자(다)+ㅁ=잠  vs.  죽(다) +으+ㅁ=죽음   믿(다)+으+ㅁ=믿음

-라틴어: 어말에서 자음+유음 불가

 

e. 자음축약(C1+C2=C3)

-한국어: 낙화-> 나콰

 

f. 모음축약(V1+V2=V3)

 

iii)중화(Neutralization)

: 대립(=뚯을 다르게 하는)하는 두 소리가 특정 환경에서 소리의 구별이 없어지는 현상

 

a. 자음 중화

-한국어(평폐쇄음화): e.g. 박[박] 밖[박]

-독일어(어말 무성음화): e.g. bunt (colorful)  bunder (league) -어말에선 똑같이 bunt

 

b. 모음 중화

-러시아어(강세를 받지않는 모음의 경우): /a,o/->/a:/등

 

 

4.3. 음운현상은 왜 일어날까?

 

i)구조적 제약: 음절 내 특정 위치에서의 제약, 음소배열제약

ii)이웃하는 소리들과의 상호작용: 발화의 관점, 선생음의 특징을 후행음에 계속 이어주거나 후행음의 특징을 미리 가져옴

iii) 선호 음절구조로 변화

 

 

 

5. 음운론적 사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과 우주에는 많은 현상이 있고 그것을 지배하는 원리와 규칙이 존재하는데 그것들은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학문이란 가려진 원리나 규칙을 찾아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고 자연과학은 우리가 지금까지 별개의 현상으로 여겨온 것들 뒤에 감춰있던 공통성이나 상관관계, 또는 인과관계를 찾아내며 발전해왔다.

 

*음운론 사고의 첫 단계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 일반적 모습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 단순히 예외라고 규정하지 않고 그것을 지배하는 다른 원리가 작용하고 있을 수 있음을 생각해야함.

 

*음운론적 사고의 두번째 단계

-예외처럼 보이는 현상을 일으키는 동인은 주위에 있을 것이라는 생각

 

=> 선택은 개인의 학문적 주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논리적 상상을 통해 본질을 추구하는 후자가 보다 올바른 학문적 자세라고 할 수 있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음운 지식은 표면적인 것이 아니라 인식 내적인 것이며, 현상은 본질의 모습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접근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함

Posted by 사월엔 :

1. 음운 지식의 성격

 

*모든 인간은 자신의 모국어에 대한 언어적 지식을 가짐

-문장에 대한 지식

-의미에 대한 지식

-말소리에 대한 지식 등

=> 음운론은 음성학과 달리 말소리 그 자체만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말소리와 관련된 모어 화자의 무의식적인 음운 지식을 연구하는 학문

 

 

2. 음운 지식 1: 음운적 대립과 음성적 실현

 

*영어화자는 폐쇄음과 경음을 구분하지 못함.

*영어에는 음성적으로 6개의 무성폐쇄음이 존재- 그러나 영어 모어 화자들은 이들을 같은 3개의 말소리로 인식함.

e.g. pin spin/ top   stop /  kin   skin

*말소리에 있어서 실재와 인식의 이러한 차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음운론의 역할

**blue와 green을 푸르다라는 하나의 색으로 인식하는 것을 설명

*현상적으로 명백히 다른 두 개가 본질적으로는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일

 

*증명1: 음성적 유사성(phonetic similarity)여부

-한 쌍의 소리는 같은 말소리로 인식될 정도로 음성적으로 매우 유사한지에 대한 것

e.g. /p/와 /ph/는 유기성에서만 차이를 보임.

 

*증명2: 음운론적 분포(distribution)을 확인하는 것

분포- 음운론에서 말소리가 단어 내부의 특정 위치에 오는 것, 영어는 발음 위치가 서로 배타적이어서 겹치지 않음

e.g. /p/와 /ph/는 같은 위치에 나타나지 않음- 서로 배타적임, 혹은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

 

*음소: 음운론에서 음성적 유사성을 가지면서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두 소리별개의 두 소리가 아닌 하나의 음소

e.g. 슈퍼맨과 클라크 켄트-같은 장소에 나타나지 않음

=>영어에서 유기음과 무기음은 두 개의 다른 소리가 아닌 하나의 소리

 

cf. 한국어와 영어의 /h/와 /ŋ/ 는 동일 음소일까?

: 분포면에서는 공통점을 갖는다. 초성에 나타나지만 종성에 나타나지 않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h/는 후음, 마찰음, 무성음이지만  /ŋ/는 연구개음, 비음, 유성음으로 두 말소리 사이에는 음성적 유사성이 없기 때문에 동일한 음소라고 볼 수 없다.

 

*두 말소리가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는 것은 언제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안다는 것

-모어 화자의 머릿속에 무의식적으로 내재되어 있어 발음할 때 활용

-예로, 영어 모어 화자의 머릿속에 /p t k/가 음소로 존재하며 그것이 환경에 따라 유기음/ph th kh/로 실현됨

-존재하는 모든 말소리가 우리의 인식속에 각각 다르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소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즉, 음소는 심리적 실재(psychologiacal reality) - Sapir

 

*영어 무성폐쇄음과 음성적 실현

-위와 같은 경우 음성적 실현인 /p t k/와 /ph th kh/를 음소 /ptk/의 변이음(allophone)

-음성적으로는 다른 말소리를 음운적으로 같은 말소리로 인식하는 것은 음운 지식(phonological knowledge)에 의한 것

 

*한국어의 경우

불[pull  풀[phul]

달[tal]  탈[thal]

공[koŋ]  콩[khoŋ]

 

-한국어의 경우는 동일한 위치에 무기음 /p t k/ 과 유기음 /ph th kh/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음

-이들은 음성적 유사성을 가지지만 분포 면에서는 상호배타적 분포를 보이지 않고 동일한 위치에 올 수 있는 평행적 분포(parallel distribution) 또는 중복 분포(overlapping distribution)을 보임

-이 두 말소리는 한국어에서는 각각의 음소가 됨

-이 두 말소리를 바꾸면 다른 의미가 됨

-최소대립쌍(minimal pair): 최소대립쌍을 이루게 하는 그 두 말소리는 의미적으로 대립(contrast)하고, 음성적 차이를 보이는 두 말소리가 영어에서는 대립을 하지 않지만 한국어에서는 대립.

-대립하는 말소리: 그 언어 모어 화자들 인식 속에 서로 별개의 것으로 존재하여 의미적 차이를 끌어낼 수 있는 소리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는 저 소리들은 음성적, 음운적으로도 다른 각각의 소리

 

-한국어와 영어 공통적으로 6개의 음성적 말소리를 발화한다는 점은 공통

-한국어에서는 이들이 각각의 음운적 말소리(음소)지만, 영어에서는 3개의 음운적 말소리에 대한 변이음으로 존재함

-말소리의 습득이 어려운 이유는 음성적 차원이 아니라 음운적, 즉 인식적 차원의 문제, 이런 인식이 발화와 인지를 지배함.

 

*음소 원리(phonetic priciple, Carr 2013)

i) 상보적 분포, 음성적 유사성을 가질 때 그 음성들은 동일한 음소

ii) 평행적 분포, 의미적 대립을 가질 때 그 음성들은 서로 다른 음소 

 

*음성과 음운(음운)의 개념 차이

-음성: 사름의 입을 통해서 나오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개별적)

-음운: 우리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말소리(집합적),

   한 언어에서 단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말소리,

   언어 사용자의 지식으로서 다른 소리와 구분되는 소리 또는 언어 체계 내에서 기능을 갖는 말소리

   음운은 모국어 화자들의 머릿속에 들어 있는 범주화된 추상적인 말소리(categorized mental speech sound)(YH)

   The minimal unit in the sounds system of a language...... The notion of the phoneme allowed to group      together sets of phonetically similar phones as variants, or 'members' of the same underlying unit. (Crystal 2008)

-음소: 의미 변별의 최소단위 - the smallest contrastive linguistic unit which may bring about a change of meaning (Gimson 2008)

 

 

3. 음소배열제약(Phonotactics): e.g. tent에서 nt는 어말에 가능한 배열이지만, tetn와 같은 배열은 불가능함.

-Speakers of all languages know which sequences of phonemes are valid within their languages. (O'grady 2013, Phonotactics)

 

Posted by 사월엔 :
OE Orthography and Prounciation

 

OE Alphabets: Roman alphabets and Runic alphabets

 

*Runic Alphabet

-Runic (from OE run 'mystery, secret')

-Used in all Germanic-speaking area

-Influenced by both the Greek and the Latin alphabets

-Designed for scratching or carving on wood or stone

-Called as futhark in Germanic or futhorc in Anglo-Saxon

 

*Roman alphabet

-Adopted with the Christianization of England in the late sixth century

-Continental type (vs. Insular type)

-<q,x,z>: Known but used infrequently- <x>[ks], <q>[kw]-womb, z[ts]

-<y>: rounded high fromt vowel [u:]

-<c>: instead of <k>

 

*Wynn과 thorn은 Runic에서 옴. 중세에 eth와 thorn은 th로 대체됨

 

*Abbreviations

-&(=ampersand): and

-7('and-'): andswaru=7swaru 'answer'

-co-(=com 'com'): n or m 생략

 

*Punctuation: raised dot'.'=pause

-고대영어는 마침표가 없어 문장의 끊음이 없기 때문에 복원, 편집본이 매우 다양하고 다름.

 

*Prologue of Beowulf

 

<Anglo-Saxon Scribe>

 

OE Consonants

 

 

 Libial

Dental 

Alveolar

 Palatal 

 Velar

 Stop(Oral)

 p  b

 

t  d 

 

k   g 

 Stop(Nasal)

 m

 

 

ŋ  

 Fricative

 f  v

 θ   ð

 s   z

 ʃ  (*ʒ가 없음)

ç

x   ɣ

 Affricate

 

 

 

       tʃ    dʒ

 

 Liquid

 

 

l   r

 

 

 Glide

w

 

 

j

 

 *x ,ɣ는 현재 독일어에 존재, ç도 독일어엔 잔재, 현대 영어엔 사라짐

 

OE Vowels

-Short and long vowels

 

 

 Front

 Central

 Back

 High

 i    u:

 

 u

 Mid

 e   (o:)

 ɛə (<eo>)

 æə (<ea>)

 o

 Low

 æ

 

 a

*Vowel 은 장단에 따라 음운변화가 있었고 장단이 매우 중요했음

 

OE Pronunciation

 

 

*고대영어에는 장자음이 있음- geminate (현대 영어에는 없음 e.g. summer)

*하나의 자음이 여러가지 발음이 오는 경우

Posted by 사월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