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9.27 10. 형태론1: 단어의 구성요소

*언어 구성 단위에 있어 음운 다음 단계는 '단어'

*단어: 의미와 결합하는 첫 단계로, 단어의 구조는 다양함.

*단어 구조에 대한 언어학적인 연구: 형태론(morphology)

 

1. 형태론

 

1.1. 형태론이란?

*언어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음운이지만 언어를 습득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단어'

e.g. '가다'=>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장소를 이동하다 외 다양한 의미임 -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다, 이해가 가니? 등

i) 단어의 내용, 즉 의미에 대한 연구는 semantics

ii) 단어의 형식, 즉 형태 구조에 대한 영구가 morphology: moroh-: form, shape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form: phonological form that i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meaning(Fasold &Conner-Linton: 2014:67)

e.g. 기어가다-> 기다+가다 -> 기가다(X) 기가다(O) 왜 이런 형태일까? 에 대한 연구

 

단어는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형태론이란 그 결합에 의한 내적구조의 모습과 그것을 형성하는 규칙에 대한 연구이다.

The study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and of the rules by which words are formed, is Morphology. - Fromkin

 

cf.

*어휘론(lexicology): 한 언어의 어휘와 관련된 총체적 연구

*사전학(lexicography): 한 언어의 모든 단어가 갖는 중요한 언어 지식에 대한 기술 및 그에 대한 제계적 편찬에 대한 연구 (요즘 특별히 관심이 많은 학문)

 

1.2. 형태론 연구의 필요성

 

e.g. EN 1. Brutus killed Caesar.

          2. Caesar killed Brutus.

      LT 1. Brutus Caesar em occidit.  

          2. Caesar em occidit Brutus.

          3. Occidit Caesar em Brutus

=>모두 Brutus killed Caesar.의 의미, 단어의 구조에 의해 문장 안에서의 역할이 결정.

 

*자립성을 가진 말(단어)이 합쳐져 한 단어 구성 가능=합성어 e.g. light+ house = lighthouse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자립성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음. 자립성을 가진 말과 그렇지 않은 말이 합쳐진 단어  = 파생어 e.g. im+possible=impossible

 

*단어와 형태소의 개념: 자립성을 가진 최소 단위 '형태소morpheme'

 

2. 단어의 구조 관련 기본개념

 

2.1. 단어와 형태소

i) 단어(word): 최소 자립 단위(minimal free forms,[Bloomfield, 1926])

: the smallest unit which can constitute, by itself, a complete utterance (Crystal, 2008)

 

ii) 형태소(morpheme)

: 최소의 의미 단위 (the minimal unit of meaning)

: 의미 혹은 문법적 기능의 최소단위(a minimal unit of meaning or grammtical function, Yule, 2006)

: 단어 구성에서 가장 작은 기능 단위(the smallest functioning unit in the composition of words, Crystal 2008)

: 한 언어에서 의미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최소 단위(the smallest recurrent meaningful units of a language, Rowe&Levine 2009)

 

*단일 형태소 단어: monomorphemic word - 집, 다리

*형태소의 종류: 단일형태소, 어근(root, base), 접사(affix), 어간(stem), 어미(ending)

 

2.2. 형태소의 특징

i) 낱낱의 소리인 음소와는 의미의 유무에 의해 구별.

ii) 최소 자립 단위(minimal free form)인 단어와는 자립성의 유무에 의해 구별

iii) 문법 단위 중에서 가장 작은 단위

iv) 형태소는 단어 미만이거나 같음

 

2.3. 형태소의 식별 방법

i) 더 쪼개면 의미를 잃어 버리는가?

ii) 의미 기능이 같은가? e.g. sing'er' vs. nic'er' => 형태소의 의미 기능이 같아야 함

iii) 다른 말로 바꿀 수 있는가? 대치의 원리, associative/paradigmatic relation

iv) 다른 말을 끼워 넣을 수 있는가? 통합의 원리, syntagmatic relation e.g. 하늘-이-푸르-다->하-?-늘-이 (X)

 

2.4. 형태소의 종류

i) 실질적 의미 유무에 따른 분류: 어휘/실질형태소(lexical morpheme) vs. 문법/형식형태소(grammatical morpheme)

->이 분류와 비슷한 개념 - 내용어(Contenct words) vs. 기능어(Function words) 혹은 열린 부류(Open class) vs. 닫힌 부류(Closed class)

 

ii) 자립성 유무에 따른 분류: 자립형태소(free morpheme) vs. 의존형태소(bound morpheme): e.g. 어간과 어미, 조사, 접사 등

 

 

 

 

*참고문헌

Fasold, R.&J. Conner0Linton (2014)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CUP

Crystal, D (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김현권 외 (2013)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Posted by 사월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