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분류'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9.17 2. 한국어의 말소리: 자음의 분류

3. 자음의 분류 기준

 

3.1. 조음위치: 어디서 발음되는가?

*조음 위치 명칭은 수동부의 명칭을 따름

 

A. 양순음(bilabial)

-봄, 폐, 빵, 말의 첫 자음 (/ㅂ,ㅍ,ㅃ,ㅁ/)

-두 입술을 이용하여 조음

 

B. 치경음(alveolar)

-들, 통, 땅, 남의 첫 자음(/ㄷ,ㅌ,ㄸ,ㄴ/)

-설첨과 설단을 윗잇몸, 측 치경에 붙이거나 간격을 좁혀 조음

-/ㅅ,ㅆ/은 혀를 치경에 붙이지 않고 좁혀서 그 사이로 공기가 마찰을 일으키며 빠져 나가게 함.

-/ㄹ/도 혀끝이나 혓날로 치경을 톡 치듯이 발음

-자음 중에는 치경음이 가장 많음

 

C. 경구개음(palatal)

-집, 차, 짝의 첫 자음(/ㅈ,ㅊ,ㅉ/)

-혀의 앞부분(=전설)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

 

D. 연구개음(velar)

-감, 칼, 꽃의 첫 자음(/ㄱ,ㅋ,ㄲ/)

-혀의 뒷부분(=후설)과 연구개 사이에서 조음

-연구개 비음: 강, 공에서와 같이 받침으로 사용되는 /ㅇ/

 

E. 성문음/후음(glottal)

-하, 호의 첫 자음 (//)

-목청에서 나는 소리

-목청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가 일어남(=목청소리)

 

 

 자음(조음위치)

능동부 

수동부 

해당자음 

 양순음

 아랫입술

 윗입술

ㅂ,ㅍ,ㅃ,ㅁ 

 치경음

 설침 또는 설단

 치경

 ㄷ,ㅌ,ㄸ,ㄹ,ㅅ,ㅆ

 경구개음

 전설

 경구개

 ㅈ,ㅊ,ㅉ

 연구개음

 후설

 연구개

 ㄱ,ㅋ,ㄲ,ㅇ

 성문음

 성대

성대 

 ㅎ

 

 

3.2. 조음 방법: 장애가 어떤 방법으로 나는가?

 

3.2.1. 장애음 vs. 공명음

 

A. 장애음의 분류

 

i) 폐쇄음(파열음): 기류의 완전한 폐쇄 (/ㅂ,ㅍ,ㅃ,ㄷ,ㄸ,ㄱ,ㅋ,ㄲ/)

ii) 마찰음: 좁은 통로 형성(마찰 소음 동반) (/ㅅ,ㅆ,ㅎ/)

iii) 파찰음: 폐쇄+마찰 (/ㅈ,ㅊ,ㅉ/)

 

B. 공명음의 분류

 

i) 비음: 비강의 열림 (/ㅁ,ㄴ,ㅇ/)

ii)유음(설측접근음): 혀의 양 옆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통로 형성(마찰 소음 없음) (//) 

 

 

4. 한국어 자음 체계

 

4.1. 특징

 

i) 대립되는 장애음의 수적인 차이

-다른 언어: 2중 대립(e.g. p  vs.  b)

-한국어: 3중 대립, 즉 삼지적 상관속 (e.g.  ㅂ  vs.  ㅍ  vs.  ㅃ)

 

ii) 대립되는 장애음의 질적인 차이

-다른 언어: 무성음  vs. 유성음 (e.g. p  vs.  b)

-한국어: 무성음: 유성음: 긴장음 (e.g.  ㅂ  vs.  ㅍ  vs.  ㅃ)

 

 

'Korean Language > 국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한국어의 말소리: 자음  (0) 2018.09.06
Posted by 사월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