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말소리 연구: 음성학

 

-연구 내용: 발화-공기전달-청취 과정에 나타나는 자연언어 말소리의 특징에 대한 과학적 연구

-연구 분야: 조음음성학/음향음성학/청취음성학등

-Phone이란: 자연언어에서 단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낱낱의 말소리로, 자연계의 소리인 음향(sound)와 다름

 

2. 말소리의 생성 과정

 

-말소리는 기류의 변형을 통해 이루어 짐: 기류는 폐(발동)->  후두(발성)->  입, 코 (조음)

 

2.1. 발성: 1차 기류 변형(=>말소리 형성 1단계)

 

-어디서: 후두(larynx)안의 성대(vocal folds/cords)

-성대의 기능: 열고 닫음을 통해 폐에서 입이나 코로 나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

 

-성문(glottis)의 상태와 말소리 유형

*성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기류의 흐름 조절

 

-성대 상태에 따른 말소리 유영

*유성성(voicing: 성대 진동 유무, 성문상태 중 가장 자연 스럽고 보편적인 성질)의 유무에 따른 분류

 

무성음(Voiceless Sounds): 성문이 열린 상태로 발화되어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말소리(호흡시 상태)

유성음(Voiced Sounds): 성문을 좁혀 발화하여 진동이 있는 소리

 

**말소리는 종류별로 유무성의 기본 성격이 다름

 

(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모든언어는 유성 자음을 가지고 무성 자음은 선택적임.

**모든 언어는 무성 장애음을 가지고 유성 장애음은 선택적임

 

*한국어는 기본적으로 유성장애음이 없고 특정 상황에서만 나타남

 e.g. 박:Park  김: Kim  장:Chang  강: Kang

 

 

*유기성(aspirtion)의 유무에 따른 분류:

 

무기음(unaspirated): 공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방출되는 소리 e.g. ㅂ,ㄷ,ㄱ,ㅅ,ㅈ,ㅃ,ㄸ,ㄲ,ㅆ,ㅉ

유기음(aspirated):공기가 오랜 시간 많이 방출되는 소리 e.g. ㅍ,ㅌ,ㅋ,ㅊ,ㅎ

 

*긴장성(tense)의 유무에 따른 분류:

 

연음(lenis): 성대를 느슨하게 하여 긴장을 수반하지 않는 소리 e.g. ㅂ,ㄷ,ㄱ,ㅅ,ㅈ

경음(fortis): 성대를 뻣뻣하게 긴장을 수반하는 소리e.g. ㅍ,ㅃ,ㅌ,ㄸ,ㅋ,ㄲ,ㅆ,ㅊ,ㅉ

 

2. 조음: 2차 기류 변형(말소리 형성 마지막 단계)

 

a. 조음 과정: 발성 이후의 과정

*성도(vocal trct): 성대 위쪽의 공간인 인두강, 구강, 비강의 세군데 공깃길

 

b. 구강음과 비강음(비음)은 위치에 따라

-목젖(구개수)

-한국어의 비음: ㅁ, ㄴ, ㅇ

 

 

c. 조음기관: 자음은 능동부와 수동부 사이의 기류 변형으로 생성됨

 

-능동부active articulator: 아래턱에 연결된 아랫입술과 혀, 움직임 많고 조음체, 하부조음자라고 부름.

-수동부 passive articulator: 위턱에 연결된 윗입술과 입천장, 음직임 적고 조음자, 상부조음자라고도 부름.

 

 

'Korean Language > 국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한국어의 말소리: 자음의 분류  (0) 2018.09.17
Posted by 사월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