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음성학: 말소리의 생성과 자음 분류 *언어의 기본 요소: 소리 (자음, 모음) -(문자 없는 언어는 있지만 소리 없는 언어는 없음) *음성학(phonetics) - 자연언어의 말소리에 대한 과학적 연구; 비슷한 소리라도 그 구체적 특징의 차이 많고, 언어마다 차이의 기준이 다르고 언어에 따라 말소리의 어떤 물리적 특징을 의미 차이와 연결시키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억양, 강세도 마찬가지) e.g. EN: song[송]=[쏭] sky[스카이]=[스까이] KO: [살]=[쌀]X [탈]=[딸]X KO: 부부[pubu] = [pupu] pill=bill X *연구분야: i) 조음음성학(articulatory phonetics): 각각의 음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ii) 음향음성학(acoustic phonetics):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음파)의 물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iii)청취/청각음성학(auditory phonetics): 귀에서 말소리를 받아드리고 뇌에서 소리를 어떻게 인지하는가 *음성학 연구 영역1. : general studies of the articulation, acoustics or perception of speech. ...phonetics is not a subdiscipline of linguistics but rather an autonomous though closely related discipline to linguistics. (O'grady 2013:109) *음성학 연구 영역2: studies of the phonetic properties of properties of specific languages. ...an indispensable foundation. 1. Airstream Mechanism: 말소리의 생성과정 i)말소리는 폐에서 생성된 기류가 입/코에 이르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변형을 통해 생성 ii)기류의 변형은 여러 곳에서 여러 방법=>조음장소&조음방법 iii) Above precesses are called as airstream mechanism. *95%의 현존 언어는 폐의 기류에서 생성되어 입으로 전달되어 만들어짐 폐에서 공기가 생성: 발동 기류의 변형 두군데, 1. 후두-발성, 2. 입/코-조음 단계를 거쳐 음성을 생성함 즉, 발동-발성-조음의 3단계를 거쳐 말소리가 생성됨. 1.2. 발성: 1차 기류 변형(=말소리 형성 1단계) -후두(larynx)안의 성대(vocal cords) -성대의 기능: 열고 닫음을 통해 폐에서 입/코로 나가는 공기의 양 조절 -성문(glottis)의 상태와 말소리 유형: 1. 성문(성대 사이의 공간)을 열고 닫아 공기 흐름 조절 1.3. 성문 상태에 따른 말소리 유형 i)유성성(voicing)유무에 따라 - 유성성(voicing; 가장 자연스럽고 언어 보편적인 형태) *무성음(voiceless sounds): 성문이 열린 상태로 발화되어 성대의 진동 없고 평상시 호흡 상태로 공기 흐름 자유 *유성음(voiced sounds): 성문 좁아져 성대의 진동 수반, 머리에 손을 얹고 나오는 /z/소리(c.f. /s/) ii)유기성(aspiration)의 유무에 따라- 무기음(unaspirated) vs.유기음(aspirated) e.g. ㄱ vs. ㅋ , ㄷ vs. ㅌ ㅂ vs. ㅍ *유기성: VOT(자음과 그 다음 모음 사이의 간격)차이 *언어에 따른 발음 차이(Ladefoged 2006) e.g. 게르만: b(무성무기음), p(무성유기음)/로망스어군: b(유성음), p(무성무기음) => 글자가 같다고 발음이 같은 것이 아님 iii) 긴장성(tense)의 유뮤에 따라 - 연음(lenins) vs. 긴장음/경음(fortis) e.g. ㄱ vs. ㄲ , ㄷ vs. ㄸ , ㅂ vs. ㅃ *유성음과 무성음 구분은 자음 모음 모두 적용, 나머지 유기성과 긴장성은 주로 자음을 구분할 때 사용 **유성음이 없는 언어는 없고, 유기음은 전체 언어의 약 73.6%, 긴장음은 약 90.9%에 존재하지 않음. *모음은 유성음이 기본이고 무성음의 경우는 매우 드묾 *자음: i)비음&유음: 유성음이 기본, ii)장애음: 무성음이 기본 iii)장애음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는 대체로 유/무성음 따짐 1.4. 조음: 2차 기류 변형(=>말소리 형성 2단계) 1.4.1. 조음과정: 후두 이후의 과정 *성도(vocal tract): 성대 위쪽의 공간 3-인두강=>2-구강or 1-비강 1.4.2. 구강음과 비강음: 구개수(uvula)의 위치에 따라 *한국어 폐쇄음은 기본적으로 모두 무성음이다. 다른 언어의 경우는 어떤지 한국어 포함 5개 언어 이상을 조사해보자.
'Linguistics > 언어학개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음성학과 음운론:자음과 모음의 체계 (0) | 2018.09.17 |
---|---|
6. 음성학: 말소리의 생성과 자음 분류 II (0) | 2018.09.15 |
4. 언어와 언어학: 언어의 특성 (0) | 2018.09.06 |
3. 언어와 언어학 (0) | 2018.09.04 |
2.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 유럽과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언어 (1) | 201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