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에 대한 학명

 

'Homo sapiences' 생각하는 인간

'Homo loquencs'= talking man

->언어는 의사소통 도구 이상이며 탐구 필요

 

언어학은 자연어의 본질적 모습,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

 

 

1. 언어와 인간

 

I. 인간과 사물

 

e.g. 아프리카 종족 언어 (Fromkin)

: muntu(사람) vs. kuntu(사물)

갓난 아기: kuntu/ 말을 하기 시작=>muntu

 

II. 인간의 언어

 

- 인간 언어 vs. 동물 언어

 

i)의사소통 수단 차이점: 동물의 언어는 자극에 대한 반응/인간의 언어는 창의성

ii)동물의 언어는 직시적 기호(indexical sign)이지만 인간의 언어는 상징적 기호(symbolic sign) 가능

iii)동물의 언어 전치성(displacement) 있긴 하지만 인간의 언어는 시제에 대한 전치성 = 정보 축적 면에서 차이

 

=>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는 문화와 문명의 유무

 

-Homo loquens: 언어는 의사소통 체계로 의사소통의 도구 그 이상의 성격으로 1. 철학적 성격/2. 과학적 성격을 가짐

 

-언어학은.....물리학이나 해부학과 같은 자연과학과 중복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이나 문학비평과 같은 전통적인 인문학과 관계가 있다. 언어학 분야는 과학과 인문학을 다 포함하며..(D. Crystal,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Language, 1987)

 

2. 언어의 기능

 

-기본 기능

 

i) 정보적 기능(informative function)과 지시적 기능(referential function): 사물의 편상 또는 개념을 전달, 인간의 문명을 이룸

 

-기타 기능

 

i) 정서적 표현 기능(emotive/expressive function): 화자의 감정, 감탄사, 정도부사, 억양, 어조 등

ii) 지령적 기능(directive function): 나의 생각을 다른 사람 행동에 영향 - 명령, 청유, 의문등

iii)친교적 기능(phatic -)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하고자 하는 것

iv)심미적 기능(aesthetic -): 시, 소설 등

v) 메타언어적 기능(meta-lingual -): 사물, 사건에 대해 언어로 설명하는 것

 

-언어를 통한 사물의 범주

 

i) e.g. a. 한국어-오색 무지개 / 파란색의 개념- 푸른색의 색깔이 아닌 푸른빛깔이 주는 느낌(인지적 차이) 

        b.  인디언 후피(hopi)어: 비행기=잠자리   / 흐르는 물(pahe) vs.고인 물(keyi)

        c. 에스키모어의 눈(雪)

 

ii) 인지 공통점: a. 단수가 디폴트 (단수+=>복수)

b. 기수(cardinal number)가 디폴트(기수+=>서수(ordinal))

c. 긍정이 디폴트

d. 상태->상태변화 등

 

-사회적 범주에 따라 언어 변이

 

i) 지역에 따른 언어변이: 방언

*모든 언어에는 방언이 있고 표준어는 편의상 정한 것

*언어에는 우열이 없음

 

ii)성별에 따른 언어 변이

*한국어 형vs. 오빠

*chiquito(볼리비아 원주민): 화자 성별에 따른 부모 호칭 상이

*북미 인디언의 yana어: 남녀 사슴 부르는 언어 다름/ 한국어 '습니다', '어요'

*아프리카zulu어 등

 

iii)계층에 따른 언어 변이: 경어

*특정 의사소통에 따라 언어 선택, 일상vs. 격식/구어, 문어의 차이

e.g. 오줌/소변, buy/purchase,

*계급  방언

e.g. 수라, lavatory/toilet 등

 

3. 언어와 문화

 

-문화의 반영

e.g. rice vs. 벼, 쌀, 밥, 죽 등(농경생활, 쌀문화)

어촌: 큰새우 작은 새우 구별

 

-이웃 문화 영향에 의한 어휘

i)양말, 양복, 양동이 등

ii)한자어

iii)외래어

 

4. 언어와 사고구조

 

한국어는 상황중심, 영어는 인물 중심

 

*읽어보기: 한국어의 발상, 영어의 발상(문용, 서울대출판부)

 

 

Posted by 사월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