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어의 특성
1.1. 기호로서의 언어
-기호(sign): 의미/개념(A)을 대신 나타내는 형식(B) e.g. 사랑(A)-♡(B)
*자연적인 기호(긴밀한 인과관계: 먹구름 뒤 비 등)와 인위적인 기호(단순한 약속: 사랑을 ♡로 나타내는 것)과 구별.
-언어는 의미/개념A(내용)를 음성/문자B(형식)로 대신 나타낸 것 =>인간의 언어는 상직적인 기호
-언어의 특성
i)추상성: 인간은 모든 사물 하나하나에 명칭을 부여하지 않고 집단적으로 범주화함. 이런 추상성이 인간의 지혜와 문명의 근간.
ii)자의성(arbitrariness): 언어는 상징적이므로 언어의 내용과 형식사이에는 필연성이 없다(cf.자연적 기호) 음성상징어도 자의성을 갖는다
iii)사회성: 언어는 사회의 산물<불변성> 언어의 내용과 형식은 자의적이지만 오랜 관습된 협약된 기호이미로 개인이 바꿀 수 없음.
iv)역사성: 약속은 바뀔 수 있다<가변성>언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뀔 수 있음. 의미변화[방송], 음성변화[남비], 의미와 음성변화[어엿브다]
v)체계성: 언어는 체계로 된 구조->문법: 규칙의 합
vi)분절성: 문장>어절(구)>단어>형태소>음소
vii)창조성: 유한한 기호체계를 사용하여 무한한 표현을 만드고, 인간은 규칙 안에서 말해 본 적이 없는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음. 모국어는 학습이 아닌 습득
2. 언어의 두 가지 모습과 언어학
-linguistic performance: 언어수행은 실제 상황에서 사용하는 언어(the actual use of language in concrete situation)
-linguistic competence: 언어능력은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언어 지식(the mental knowledge that a speaker or listener has of language)
*대화 시 잘못 말할 수도 있고 잘못 들을 수도 있다(언어수행). 그러나 우리가 모국어를 모르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알고 있다(언어 능력)
*언어학은 랑그, 언어능력, I-language에 대한 연구
3. 언어의 유형과 연구 내용
3.1. 언어구조에 따른 유형 분류
-언어학: 언어체계 또는 언어구조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문학보다는 자연과학에 더 가까운)
-언어 체계/언어구조
*언어구조 면에서 볼 때 언어는 크게 전달 매개체인 소리(medium of transmission)와 관련된 연구(phonetics, phonology), 의미(meaning/semantics)를 연구하는 의미론(lexicon/discourse), 언어 요소들의 결합 규칙(grammar)을 연구하는 문법론(morphology/syntax)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이런 언어구조의 사용과 관련된 화용론)pragmatics)이 있다.
3.2. 관점에 따른 유형
-일반언어학과 개별언어학: 일반언어(: 자연언어)와 개별언어:개별언어)에 대한 연구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 synchronic linguistics특정 시기의 언어 연구와 Diachronic linguistic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의 변화 연구
'Linguistics > 언어학개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음성학: 말소리의 생성과 자음 분류 II (0) | 2018.09.15 |
---|---|
5. 음성학: 말소리의 생성과 자음 분류 (0) | 2018.09.15 |
3. 언어와 언어학 (0) | 2018.09.04 |
2.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 유럽과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언어 (1) | 2018.08.23 |
1.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 아시아의 언어 (0) | 2018.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