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자연언어의 자음

 

3.1. 자음과 모음의 구분

*자음: 발음할 때 장애를 수반하며 나는 소리 (relatively closed productions, typically with significant articulatory constriction)

 

3.2.1.조음 위치(Place of articulation)

*조음 위치: 장애가 어디서 일어나는가. (능동부와 수동부의 접촉이 일어나는 위치 또는 가장 가까이 형성되는 위치)

**조음 위치는 거의 수동부의 위치에 따라 명명됨

 

i)양순음(bilabial):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이용하여 조음: e.g. /ㅂ, ㅍ,ㅃ, ㅁ/ , /p,b,m/

 

ii)순치음(labio-dental): 윗입술과 아랫니를 이용: e.g /f,v/

c.f. 후지산은 영문 표기 fuji인데 맞는 표기일까?

 

iii)치음(dental) 혀끝과 윗니를 이용하여 조음 : e.g. /th/의 두가지 발음 (흔치않음)

 

iv)치경음(alveolar)또는 치조음: 설첨과 윗잇몸을 이용하여 조음: e.g. 둘, 통, 땀, 남의 /ㄷ,ㅌ,ㄸ,ㄴ/, tip, deep /t, d/

*자음 중에는 치조음이 가장 많다. 영어의 /s/와 한국어의 /ㅅ,ㅆ/도 치조음.

다만 이 소리는 혀를 치조에 붙이지 않고 공기를 좁혀 그 사이로 공기의 마찰을 이으키며 빠져나가게 함.

영어의 /l//r/, 한국어의 /ㄹ/도 치조음.

 

v)경구개치경음(palato-alveolar): 혓날과 경구개치경을 이용하여 조음 e.g. ship의 첫자음, 한국어는 ㅅ의 변형

 

vi)경구개음(palatal): 전설과 경구개사이에서 조음 e.g. 집, 차, 짝의 /ㅈ,ㅊ,ㅉ/ yes의 /j/

 

vii)연구개음: 후설과 연구개를 이용하여 조음e.g.감, 칼, 꽃/ㄱㅋㄲ/ , kind,goal/k,g/

*한국어의 강, 공에서와 같이 받침으로 사용하는 /ㅇ/도 연구개음으로, 영어의 sing의 ng도 마찬가지.

*국민, 막내가 ㄱ-ㅇ으로 발음되 듯, 영어에서도 sin, pin은 발음이 n으로 나지만 다음에 k,g가 오면 n->ng발음으로 변화되는 것도 같은 이치로 조음위치가 같기 때문이다.

 

viii)성문음(glottal) or 후음: 목청에서 나는 소리 e.g. 하, 호의 /ㅎ/, house의 /h/

 

ix) 이외에도 권설음(retroflex), 목젖음(구개수음: ucular), 인두음(pharyngeal)등이 있음

*같은 언어라도 사람에 따라, 지역에 따라 매우 달라짐

 

 

*조음위치의 보편성

 

i)양순음, (치음/)치경음, 연구개음: 99%이상

ii)순치음: 203개언어 (45%)

iii)치음: 158개 언어 (35%)

iv)경구개치경음: 289개언어(64.1%)

v)경구개음: 405개언어(89.8%)

vi)성문음: 336개언어(74.5%)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자음(조음위치)

능동부 

수동부 

해당 자음 

 양순음

 아랫입술

 윗입술

 ㅂㅍㅃㅁ

 치경음

 설첨/설단

 치경

 ㄷㅌㄸㅅㅆㄴㄹ

 경구개음

 전설

 경구개

 ㅈㅊㅉ

 연구개음

 후설

 연구개

 ㄱㅋㄲㅇ

 성문음

성대 

성대 

 ㅎ

 

 

3.2.2.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i) 협착(constriction)의 정도에 따른 분류

 

분류 

 협착의 정도

 공기의 흐름

 예

 폐쇄음(stops)

 Complete closure

 Forms obstruction which blocks airstream

 p t k

 마찰음(fricative)

 Close appromation

 Forms narrowing giving rise to friction

 s

 접금음(approximants)

 Open appromation

 Forms no obstruction but changes shape of vocal tract, thus altering nature of resonance

 w   j

 

*폐쇄와 마찰의 차이: 폐쇄는 능동부와 수동부가 서로 합쳐져서 폐쇄가 이루어진 다음 파열이 일어나는 반면, 마찰은 그런 폐쇄 단계가 없음

 

ii)추가 구분:

 

*두 종류의 폐쇄음

a. 구강폐쇄(=파열음, plosive, oral stop): 구개수를 올려 코로 통하는 공깃길을 막음

b. 비강폐쇄(=비음, nasal stop): 구개수를 내려 코로 통하는 공깃길을 엶

 

*두 종류의 접근음

a. 활음: j(=y), w.

b. 유음: l,r

 

iii)장애의 유무에 따른 분류

 

a. 장애음(Obstruent): 입, 또는 코에서 기류의 흐름에 폐쇄나 마찰의 장애를 수반하며 나는 자음

b. 공명음(Sonorant): 입, 또는 코에서 기류의 흐름에 폐쇄나 마찰의 장애를 수반하지 않는 자음. 경우에 따라서는 모음도 포함

 

*파찰음(폐쇄+마찰음)은 폐쇄 이후 개방 시 마찰음에서와 같은 마찰 소음(friction, noisy)를 동반한다.

 

 

*조음방법의 보편성

i) 폐쇄음이 없는언어: 없음

ii) 마찰음 없는 언어: 31개 언어(6.9%)

iii) 파찰음이 업슨 언어: 151(33.48%)

iv) 비음이 없는 언어: 16개 언어(3.6%)

v) 접근음이 없는 언어: 17개언어 (3.8%)

 

 

Posted by 사월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