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어학의 과제
1.1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의 올바른 정의
언어 = 의사소통 수단 (X)
= 말소리를 매개로 하는 의사 소통 수단 (X)
= 말소리를 매개로 하는 의사 소통의 수단 체계 (X)
언어란, "기호(Sign)의 체계(System)"
*기호(Sign)이란? 직증적(Iconic)/지표적(Indexical)/상징적(Symbolic) 기호 중, 상징적 기호!
-언어란 상징적 기호: 기호 형식과 그 기호가 지시하는 의미 사이에 아무런 연관 관계가 없는 경우의 기호로, 기호의 내용과 형식이 임의적이고 우연적 연관관계만 존재하는 것.
*체계(System)란? 언어를 이루는 여러 기호들을 운용하는 일련의 규칙과 제약, 일련의 배열, 순서의 규칙을 준수해야 이루어 짐.
1.2 언어학의 과제
1)언어의 작용원리 - 언어를 습득한 사람 누구나 언어 구사 가능. 원리를 알지 못해도 작동. 그러나 기계와 달리 인간의 뇌를 공부한다고 해도 언어의 작동원리에 대해 알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임. 즉, 연역적 방법을 통해 연구 필요함.
2)언어학자의 임무= 문법 규명 - 화자가 가지고 있는 '언어 가공기(Grammar)'즉 문법을 추리하여 재구再構하는 것이 언어학의 과제이자 언어학자의 임무.
3)문법의 의미 - 문법은 문장을 만드는 법칙 but,
-넓은 의미의 문법 - 화자의 두뇌에 가지고 있는 이상적 언어 가공기 -
-좁은 의미의 문법 - 가공기가 이런 성능을 지닌 것이라고 개별 언어학자들이 추리해 재구한 모형
4)언어능력 (Linguistic Competence) : 언어의 화자라면 어순의 규칙등이 뇌리에 영구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것
언어수행 (Linguistic Performance) : 언어를 실제 생활에서 구사하는 것
5) 문법규명 관련 문제
- 언어능력이 있음에도 순간적으로 말실수등을 하기에 언어자료에서 언어능력(문법)을 규명하기란 쉽지 않음.
-화자자신이 자신의 언어능력에 대해 인지 하지 못함.
2. 동물의 언어
2.1 인간VS동물 언어 차이
- 단어 수의 차이- 양적인 차이도 명백히 존재하지만 차이를 만드는 것은 결국 '질적인 차이'
2.2 인간 언어의 구성 자질
1)이원성 (duality) : 소리체계와 의미체계가 분리, 독립되어 있음. ex)동음이의어/이음동의어
2)창의성(creativity): 신조어, 어휘의 배합으로 새로운 문장 창조 가능. 밑없는 생산성(open-ended productivity), 새로운 상황 처할 때마다 말을 창조.
3) 임의성 (arbitrariness): 소리의 체계와 의미 체계가 이원적이며 이 둘의 관계는 임의적으로 맺어짐. ex)희다 -white, 시로이, 바이, 블랑 - 동일개념 소리 차이. 의미와 소리에 어떤 필연적 관계 존재하지 않음.
4) 교환성 (interchangeability) : 동일한 통신자가 메시지의 송신자/수신자 가능.
동물은 송/수신자가 분리 ex) 닭, 공작은 수컷만이 구애 가능
5) 전위 (displacement) : 지금, 여기를 떠나 과거 미래, 먼 곳에서 일어난 사항을 서술 가능, 거짓도 말 할 수 있음
6)문화적 전달 (cultural transmission) : 인간의 언어 전달은 문화적인 것으로 유전적인 것이 아님. 동물은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음
2.3 동물 언어 특성
1) 영리한 한스증 - 인간의 언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흉내내는 구관조- 의미 알지 못함.
개의 행동은 훈련대로 행동하는 것 - 언어를 알아듣는 것이라기 보다 반사적인 행동.
2)꿀벌의 통신 - 유전적인 언어습득, 창의성이 없고 임의성이 없음.
3)영장류 의사 소통 - 어휘 극히 제한, 당시 감정의 노출, 창조성이 없고 전위가 불가능.
'Linguistics > 언어의 이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lementary] Philip Liberman (0) | 2018.09.05 |
---|---|
6. 형태론 (0) | 2018.09.03 |
5. 음운론 (0) | 2018.09.03 |
4. 언어의 소리 (0) | 2018.08.22 |
3.언어의 기원 (0) | 2018.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