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형태소와 이형태
1. 1 형태소란?
*언어는 소리와 더불어 의미를 전달해야 하며 소리들이 모여 의미를 지닌 언어 최소 단위, 즉 형태소를 이루어야 하고 이 형태소를 연구하는 학문을 morphology형태론이라고 함.
1.2 형태소
*형태소: 모든 단어에는 의미가 있지만, 의미를 지닌 모든 어형이 단어의 단위로 나타나지 않음 e.i. 복수 -s나 과거-ed와 같은 것들은 의미가 있지만 단독형(isolated form)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단어가 아님=> 단어보다 더 작은 언어의 형식으로서, 의미를 지닌 최소의 단위인 형태소
*형태소가 의미를 지닌 단위라고 할 때의 의미(meaning)에는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가 모두 포함.
e.i.
2. 형태소와 이형태
2.1 이형태
*한 형태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음상(phonetic shape)가 다르게 나타남
*교체(alternation): 같은 형태소에 속하면서 해당 형태소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 그 음상이 달라지는 현상
*이형태(allomorph)또는 변이형: 교체에 의해 달라진 한 형태소의 여러 모양
2.2. 이형태의 상보적 분포
2.3. 형태소의 종류
*자립성의 여부에 따라:
-자립형태소: 흙, 코, 나무, 얼굴, 어느, 무슨, 벌써, 무척, 또 와 같이 단독으로 단어가 될 수 있는 형태소 (Free morpheme)
-의존형태소: 읽어라, 읽으니, 읽고, 읽는다, 읽었다의 '읽', 과거-d, 복수-s,등 단독으로 단어가 될 수 없는 형태소 (Bound morpheme) ->한국어의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과 어미
*의미의 종류에 따라:
-어휘형태소: 많다, 많으니, 많고에서의 어간 많-, ask, pick, love, act나 먹-, 죽-, 서-, 보-, 사-와 같이 실질적인 어휘적 의미를 지닌 형태소 (Lexical morpheme)
-문법형태소: -다, -으니, -고 나 -d-,-었-과 같이 시제라는 문법 범주를 표현하는 등 문법적 기능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소 (Grammatical morpheme)
3. 단어형성론
3.1 형태소와 단어
*단어: 의미를 지닌 최소의 자립 형식,단어는 형태소와 같은 크기일 수도 있고, 그보다 더 클 수도 있음
3.2. 단어 형성 규칙
3.3. 파생어 형성
*파생어: 어기와 접사가 만나 이루어진 복합어
-어기(base): 단어의 중심부 형성하는 형태소, 복합어에서 접사를 분리하고 남은 부분
-접사(affix): 단어의 주변부를 이루는 형태소, 의존형태소로 항상 어기와 만나야 단어가 됨
*접사의 위치에 따라 접두사(prefix)와 접미사(suffix)로 나눔
*어기에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접사는 파생 접사(derivational affix), 한 단어의 어미 변화만 담당하는 접사를 굴절 접사(inflectional affix): 어미(ending) e.i. 과거형, 복수형, 비교급, 최상급 등.
*화자들은 어떤 접사가 있는지 결합 조건을 알고 무의식적으로 알며 수많은 파생어를 생성함.
3.4 합성어 형성
*합성어: 어기나 단어를 결합시켜 만듬
'Linguistics > 언어의 이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통사론 (0) | 2018.09.05 |
---|---|
[Complementary] Philip Liberman (0) | 2018.09.05 |
5. 음운론 (0) | 2018.09.03 |
4. 언어의 소리 (0) | 2018.08.22 |
3.언어의 기원 (0) | 2018.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