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의 구성요소
1. 영상image - 핵심요소, motion pictures, (사진+시간, 최초의 동영상은 영화)
2. 대사dialogue - 대화conversation과 독백monologue를 포함, cf. Voice-over;VO, Narration,
방백Aside cf.카메라 응시(방백):영화에서 보통 방백은 디제시스 세계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희귀 (연극, non-fiction 제외)
*영화에서 방백이 금기되는 이유는 관객의 voyeurism 에 대한 욕망이 깨지면 현실의 출현으로 픽션의 세계(디제시스diegesis)가 깨질 수 있기 때문. 그러나 현대 영화에서는 의도적으로 관객을 픽션의 세계에 참여시키기 위해 방백도 사용
*Diegesis: 스토리와 그 주변, 스토리와 그 전후에 상정하는 가공의 세계로, 스토리에 협력하는 모든 것을 지칭. 영화상의 지형적, 역사적, 사회적 배경뿐만 아니라, 행위들이 일어나는 감정적, 동기적 분위기를 포함하는 모든 특정한 스토리는 고유한 디제시스 세계를 창조함.
3. 음악music
4. 음향sound
5. 자막graphic - 작품 전체의 분위기, 내용, 의도를 조장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조형적 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디자인 고안 가능.
시청각 예술로서의 영화 audio-visual art
1. 비디오의 영역
-가시적인 영역(On screen)과 비가시적 영역(Off screen)으로 나뉨
-영화는 현실과 달리 분절되어 있고 카메라 렌즈가 대상을 비추자마자 드러나지 않은 비가시적 영역이 생기며 궁금증이 생기게 됨. 이런 off screen이 사진과 달리 영화에서는 매우 중요함. (스크린의 세계는 어떤 세계의 일부라는 사실이 영화예술의 기본적인 특성)
-영화는 프레임 내부와 외부의 관계에 의해 영화만의 공간을 창출(시점 변화, 쇼트/역쇼트)
2. 오디오의 영역
-소리는 영상을 보충
-소리의 영역은 영상에 종속되어 있으며, 영화에서 자치적 소리 영역은 존재하지 않음
-이미지가 소리에게 실제적, 혹은 상상적 가치를 부여해주고, 때로는 소리가 이미지를 넘치거나 위반하기도 함
3. 소리의 삼등분
-어떤 영화들은 삼등분의 벽에 같힌 소리를 쓰고, 어떤 영화는 왕래하는 소리를 씀
i)Sound in: 실제 화면에서 발생하는 소리-보이는 소리와 보이지 않고 배경에서 나오는 소리;Ambient sounds
ii)Sound off-screen: 소리의 원천이 보이지 않고, 프레임 밖의 인접한 장소에서, 실제 화면 밖에서 발생하는 소리
iii)Sound off: 다른 시간, 다른 장소의 보이지 않는 원천에서 발생하는 소리(배경음악, 과거의 행위를 이야기하는 VO, 내래이션 소리 등 실제 화면에서 발생하지 않는 소리
'기타 > 영화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영화의 개념과 정의 (0) | 2018.09.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