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화의 존재론

 

*영화 ontology의 3가지 차원

-Art 미학적 차원

-Symbol 기호적 차원 : 영상기호로서의 기능, message

-Culture 문화적 차원

 

*영화란 '제 7의 예술': 기존 예술 장르 특징의 결합으로 기존 예술의 호혜

-시간예술: 관객의 이해를 위해 일정한 시간이 필요

-공간예술: 상영 공간이 필요

-종합예술: 여러가지 통합한 종합 예술로서 과거의 예술을 한대 모음

 

 

*영화의 명칭 'Film/Movie/Cinema'

 

-시작은 Motion PIcture(활동사진)->1921년경부터 활동사진/영화라는 용어 혼용

 

-Film: 재료에 녹화된 스펙터클, 주로 영미와 프랑스에서 미학적, 문화적 속성의 영화를 일컬음

1 .Filmlolgy: 관객 앞에서 영사한 작품: 미학적 관점 반영

2. Semiotics: 관객이 받아드린 메시지나 담론

3. Criticism: 장편의 픽션을 일컬음

e.i. 82' 람보는 영화학적 가치는 없지만 기호학적 차원에서 '미국의 호전주의'나 '미국지상주의 담론'의 메시지를 담고 있음

 

-Movie: 주로 대중적/오락적 산업 속성으로서의 영화 esp. 장르영화를 일컬음 #헐리웃, #미국

 

-Cinema: 어원은 그리스어의 움직임(Kine), 프랑스어의 Cinematographe의 준말, 뤼미에르 형제가 발명한 카메라의 이름으로 영화자체를 통칭하고 정치적, 사회적 속성의 영화를 일컬음. 또한 작품인 필름 이전/이후를 아우르는 모든 외적인 것을 모두 시네마라 할 수 있음(e.i. 제작, 체계, 관객수용, 시간, 기술, 산업적 측면 등)

'기타 > 영화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의 구성요소: 시청각적 요소  (0) 2018.09.09
Posted by 사월엔 :